자산평가의 목적

2020. 3. 20. 23:07 from 일상 Life

자산의 평가란 기업이 현재 소유하고 있는 자산에 대해 화폐적 가치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자산의 원가는 향후 해당 자산이 가져다 줄 경제적 효익의 지속시간에 걸쳐 매기 비용으로 배분되어야 할 금액을 의미하므로, 자산평가는 기간손익의 크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국 회계기말에 자산을 평가하는 목적은 기간손익의 결정이라는 회계의 목적과도 일치하는 것으로서 회계에서 매우 중요시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자산 평가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기간손익의 결정: 자산의 평가결과로 자산원가 중에서 당기에 배분될 비용이 결정된다.

 

2. 투자자에게 기업의 재무상태에 관한 정보 제공: 투자자들에게 해당 기업의 자산가치를 알려준다.

 

3. 채권자에게 필요한 정보 제공: 채권자들에게 해당 기업의 자산가치

 

4.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 제공

 

자산평가의 일반적인 기준은 전통적으로 원가주의, 시가주의, 저가주의에 의한 방법이 있는데,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원가주의에 의한 평가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다만 예외적으로 다음의 경우에는 원가 이외의 가액으로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첫째, 자산 중 단기매매증권과 시장성 있는 매도가능지분증권은 시가주의를 적용하므로, 이 경우에는 반드시 공정가치로 평가해야 한다.

 

둘째, 장기후불조건의 매매거래 등에서 발행한 채권, 채무로서 명목상의 가액과 현재가치의 차이가 중요한 경우에는 현재가치에 의해 평가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 경우 현재가치는 미래에 수취할 금액의 현재가치를 의미한다.

 

셋째, 재고자산을 저가로 평가하는 경우 순실현가능가치 또는 현행 대체원가가 취득원가보다 낮은 때에는 동 금액으로 평가한다.

 

넷째, 투자채권 중 액면가액과 취득가액이 다른 것은 그 차액을 상환기간에 걸쳐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조정해야 하며, 이 경우 만기보유목적의 채권은 상각 후 취득원가로 표시하지만 만기보유목적이 아닌 것은 기말 현재의 공정가치와 비교하여 동 평가손익을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으로 계상해야 한다.

 

 

Posted by 진실과삶 :